2017 ~ 2018 Associate Research Fellow,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KICE)
2018 ~ Present Assistant Professor / Associate Professor, Incheo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
2016.12.08 Ph.D. in Philosophy, University of Birmingham
2010.02.26 M.A. in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5.02.25 B.A. in Physical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Main Research
Mapp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and impacts on pupil learn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in south Korea,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Vol. 22, No. 4, pp. 427–444, 2017.07.01
Creation of an instructional model in a community of practice and its impact on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Vol. 26, No. 5, pp. 504–516, 2021.09.03
What makes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more or less effective?: An evolu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023.
Publication
생활스포츠지도사 전문성 인식 및 개발 양상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1권(집), 제2호, PP.115-133, 2024.04.30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변화에 대한 교육 주체들의 인식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1권(집), 제2호, PP.1-19, 2024.04.30
초등학교 기반 포괄적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사례연구.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제28권(집), 제2호, PP.75-96, 2024.04.30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close-knit relationships among teachers in a community of practice,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2023, DOI: 10.1080/17408989.2023.2265395
What makes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more or less effective?: An evolution of community of practice for physical education teachers.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2023, DOI: 10.1123/jtpe.2023-0005.
도핑 연구동향 분석: 도핑방지교육 연구 및 실천과제 도출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0권(집), 제3호, PP.43~57 , 2023.07.31
교사의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이해 지원 방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제26권(집), 제2호, PP.107~124, 2023.05.31
캐나다 온타리오주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주의 체육과 교육과정 선택과목 체제 분석, 체육과학연구, 제34권(집), 제1호, PP.155~163, 2023.03.31
학생선수 e-School의 효과적 운영 양상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제27권(집), 제1호,.85~103, 20023.03.30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한 가지 제언: 이론 생성 및 정교화,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제30권(집),제1호,pp.307~321,2023.01.31
체육 계열 전문교과 운영 양상 탐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제26권(집) , 제2호 , PP.195~215 , 2022.06.30
Creation of an instructional model in a community of practice and its impact on relationships between member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 제26권(집) , 제5호 , PP.504~516 , 2021.09.03
국외 체육과 교육과정 건강 영역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8권(집) , 제3호 , PP.43~59 , 2021.07.31
교사와 학생의 체육수업 양성평등에 대한 인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제25권(집) , 제2호 , PP.117~133 , 2021.06.30
학교체육 시설 및 용·기구 활용 현황 및 개선 방향 탐색: 양성평등 관점에서,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8권(집) , 제2호 , PP.149~166 , 2021.04.30
학교체육-생활체육 연계를 위한 스포츠교육학의 역할,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 제9권(집) , 제1호 , PP.27~38 , 2021.01.31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학생선수 학업-운동 병행 연구 동향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제24권(집) , 제4호 , PP.131~148 , 2020.12.31
체육과 교육과정 재구성 개념 및 실천 지원 방향 탐색, 체육과학연구 , 제31권(집) , 제4호 , PP.742~757 , 2020.12.31
가상현실 스포츠실 활용 체육수업의 효과 및 한계점,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7권(집) , 제4호 , PP.81~96 , 2020.10.31
학교체육에서의 지역연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6권(집) , 제1호 , PP.107~122 , 2019.01.31
How is positive youth development understood and practiced by Korean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 broad picture,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 제18권(집) , 제4호 , PP.2240~2247 , 2018.12.01
체육교사학습공동체 온라인 카페 활용 탐색 사례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5권(집) , 제4호 , PP.21~40 , 2018.10.31
체육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개발 활동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4권(집) , 제3호 , PP.1~23 , 2017.07.01
Mapping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and impacts on pupil learning in a community of practice in South Korea,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 제22권(집) , 제4호 , PP.427~444 , 2017.07.01
영국 학교체육정책 개발 과정 분석을 통한 학교체육정책 개발에의 시사점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 제22권(집) , 제3호 , PP.119~134 , 2015.07.01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스포츠맨십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사례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 제53권(집) , 제5호 , PP.231~247 , 2014.09.01